나는 내가 아직 청년에 속하는 줄 몰랐다. 청년일 때 받을 수 있는 혜택은 야무지게 챙겨야겠다고 다시 한번 다짐했다. 요즘 은행 금리가 오르면서 예, 적금 상품에도 눈이 가끔 간다. 이율이 높은 상품이 나왔나 기웃거리던 중에 청년희망적금이라는 것을 보게 되었다. 이는 청년들에게 높은 이자를 주는 적금인데 기본 은행 이율 5~6%(은행마다 다름), 저축장려금(적금액과 기간에 따라 다름), 이자소득 비과세라는 혜택이 있다.
2022 청년희망적금
신청대상 : 만 19~34세 청년
적금 상품 가입일 기준의 나이가 충족되어야 함.
예)
1987년 2월 22일생은 2월 21일만 가입이 가능.
1987년 2월 23일생은 2월 22일까지 가입이 가능.
만나이로 계산하면 87년 2월생까지 가입이 가능하지만 생일이 지나면 나이 조건이 안되니 이를 참고하여 생일 지나기 전에 가입이 가능한지 반드시 확인이 필요하다.
가입기간 : 2022년 2월 21일 ~ 2022년 3월 31일
정부의 예산 소진(저축장려금이 정부예산)에 따라 조기에 종료될 수 있음.
가입 첫주는 5부제 시행.
- 21일(월) : 뒷자리 1,6년생
- 22일(화) : 뒷자리 2,7년생
- 23일(수) : 뒷자리 3,8년생
- 24일(목) : 뒷자리 4,9년생
- 25일(금) : 뒷자리 5,0년생
기간이 길다고 여유 부리면 가입 못할 수도 있음.
이왕 할거면 첫 주에 5부제 지켜서 가입할 것.
가입조건 : 작년 총 급여기준 3600만 원 이하이거나 종합소득액이 2600만 원 이하
작년 소득이 있다면 올해 소득 없어도 가입 가능.
국세청에 등록된 아르바이트생도 가입 가능.
소득액, 급여 잘 모르면 신청 가능한 은행 사이트에서 자격을 미리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제공 가능한 은행
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농협은행, 기업은행, 부산은행, 대구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제주은행
적금 내용 설명
- 매월 50만원 한도
- 자유식 적금(납입금액 자유)
- 은행 기본금리(은행마다 다르지만 5~6%/우대이율 포함)
- 은행이자와 별개로 저축장려금 추가 지원(1년 차 납입액의 2%, 2년 차 납입액의 4%)
- 이자소득세 비과세
*매년 50만 원씩 2년간 납입하는 경우 저축장려금은 최대 36만 원까지 지급받을 수 있음.
추가로 궁금해서 알아본 내용
기혼자여도 배우자 상관없이 위의 조건이 맞으면 가입 가능하다고 함.
다른 청년지원제도에 가입 중이거나 지원받은 적이 있어도 가입 가능하다고 함.(청년 내일 채움 공제, 청년 내일 저축계좌,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청년 두배 희망통장 등)
1인 1 계좌 (여러 은행에 가입하는 것 안됨)
나는 국민은행에 청년희망적금 미리보기 신청해놓고 조건이 되는지 확인하려고 했는데 아직도 대기중이다. 영업일로부터 3일정도면 문자로 가입여부 확인하여 통보해 준다고 했는데
지연되고 있다는 문자 하나 오고 아직도 무소식이다. 조건이 안되는건 아니겠지 설마.
'금융 보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보험찾아줌 : 보험계약, 미청구 보험금 찾아보기! (0) | 2022.01.17 |
---|---|
절세혜택 누리는 종합계좌 : ISA계좌 (주린이 주목) (0) | 2022.01.06 |